티스토리 뷰

Wika/위카위키

레드필 뜻 의미 유래

baetaeji 2023. 2. 21. 03:14
반응형

 

관심없으나 귀에 가끔 드릴 수 있는 레드필 간단하게 무엇인지 핥고 넘어가자, 

 

 

레드필은 영화 매트릭스에 나온 두가지 약 레드필, 블루필 중 레드필을 말하는것으로 

레드필 : 빨간 알약을 먹고 세계의 진실을 알게 된다 but 고통스럽다

블루필 : 파란 알약을 먹는다면 기억을 잊고 진실을 모른채 보이는 것만 보면서 살게 된다= 안고통스럽다

 

즉, 레드필은  '레드필'은 현실을 영화 <매트릭스>에 빗대어 이성 간의 만남이나 결혼 등 성 전략의 가혹한 진실을 받아들이자는 주장이다. (이론이나 학문화 된건이 아닌 주장이다) 미디어가 어떤 식으로 남성 프레임을 해체하고 있는지 구조적으로 해석하기 시작한다.

 

한국에서는 21년 부터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설거지론, 퐁퐁남등의 말들이 유행하며, 레드필에 불을 지폈고

유튜브에서 유튜브읽어주는남자를 통해 소개되고 서구권의 조던 피터슨 앤드류테이트등의 발언이 소개되면서 널리 확산되기 시작했다.

 

남들은 어렵게 설명하는데, 난 모르겠고, 내가 느낀대로 설명하자면 이런것이다.

 

2010년도 이후 현재의 사회는 PC주의, 젠더, 평등같은 이야기가 소셜미디어에 확산과 더불어 인간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남녀,연애,가족에 대해서 말하기 조심스러워진 세상이다. 

 

하지만

 

모든 주장+개소리들이 통용되는 혼란의 시대라 할지라도 남녀의 관계는 인간진화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결국 아직도 세상은 여성들이 반응하는 알파성이란, 철저한 위계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도출했다.  이 잔인한 현실을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에 비유하고, 여기서 벗어나 진짜 현실을 보게하는 약이라는 의미에서 자신들의 이론에 '레드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결국 내가 주인의 세상 남녀평등을 외쳐도 진화심리론에 따라 알파메일을 찾고 알파메일을 찾기위해 여성으로서의 최대한의 생물학적 무기를 이용하는것이다.

 

 

레드필 이론의 창시자인 롤로 토마시는, "상대 여자를 자기 '프레임' 속에서 '통제'할 수 있는 존재"가 알파메일로 정의한다. 
다만 주의할 점은 여기서 상대방을 자기 프레임으로 통제한다는 것은 단순한 억압이 아니다. 통제보다는 남자의 프레임 속에 여성이 자발적으로 들어오는 것에 가깝다. 

인류 사회는 대다수의 경우 필연적으로 연애권력이 여성 우위인지라 여자가 갑이 되고 , 대부분의 남자들은 여자를 가지기 위해 을의 입장에 서는 경우가 많은데 알파는 확고한 프레임으로 여성을 쟁취할 수 있다.

 

 

아무튼 그렇다, 사실 우리나라의 알파메일의 이상형은 이미 삼국시대 때 나왔다

화랑도라고 문무를 겸비하고 세속오계를 실천하는 꽃미남집단

 

 

운동도하고 이것저것 관심도 많이가지고, 방구석에서 살만 안쪄도 반은먹고 들어가는시대이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